top of page

미 국채 장기금리 하락하며 나스닥 지수만 상승마감(05/22/25)

최종 수정일: 9시간 전

오늘 미국 주식 시장은 미국채 장기금리가 소폭하락하며 나스닥 종합지수만 소폭 상승하며 3대 지수 혼조 마감

출처: cnbc.com
출처: cnbc.com


미국 주식 시황


오늘 아침 하원에서 투표를 통해 세금 인하와 추가 군사비 지출을 포함하는 법안을 승인 현재 상원으로 넘어간 해당 법안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급등에 대한 우려가 이미 채권 가격에 부담을 주고 수익률을 높이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 정부 부채를 늘리고 재정적자를 확대할 수 있는 상황 한편, 의회예산처는 해당 법안의 예산을 약 $4T 추산하고 있는 상황


아젠트 캐피털 매니지먼트 포트폴리오 매니저 제드 엘러브룩은 단기적으로 감세 법안은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되며 2026년 국내총생산 성장률을 높일 것이라고 언급 많은 사람들의 세금을 줄이고, 특히 국방비 지출을 늘리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국내총생산 성장률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연방 재정적자가 엄청나게 불어나며 장기적으로는 시장 상황이 안 좋은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고 덧붙임 미 국채 금리가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미 국채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국채의 매력도와 신뢰도가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

연방 예산 적자가 장기간 극도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정상 수준으로 회복될 기미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


펀드스트랫 기술적 분석 전략가 마크 뉴턴은 미국 장기 국채 수익률이 이번 주에 상승세를 보인 후 저항 수준에 접근하고 있다고 언급

월간 최고치 돌파는 전일 거래에 확실히 중요한 요소였으며, 향후 2~3일 동안 수익률 상승이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10년물과 30년물 국채 수익률이 2023년 이후 중립적인 패턴으로 거래되고 있기 때문에 수익률 추세를 2~3년 기준으로 더 높은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라고 강조

따라서 이는 위험 대비 수익률이 더 매력적이 되어 미 국채 수익률이 높아지는 가운데 미국채를 매수할 수 있는 매력적인 위험 대비 수익률 기회가 된다고 덧붙임


중국 AI 다크호스 DeepSeek, 실리콘밸리 빅테크 공룡들의 주가를 흔들수 있을까? (DeepSeek)


울프리서치 수석 투자 전략가 크리스 세녜크는 놀랍지 않게도 미국의 장기 재정 상황은 지속 불가능한 경로에 있으며, 연간 지출 수준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고, 2020/2021년 추세만 9월 회계연도 말에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

미국 의회를 통과하는 세금 법안에 담긴 지속 불가능한 장기 전망에 대해 채권 경계론자들이 장기 수익률을 높여 '반발'하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

향후 미국내 인플레이션 전망과 연준의 기준 금리 인하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장기 금리의 경로가 올해 남은 기간 동안 계속해서 주요 지표의 동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임


미국 개인 투자자 협회의 최근 주간 설문조사에 따르면, 향후 6개월 동안 주식 전망에 대해 강세를 예상하는 개인 투자자의 비율이 1월 말 이후 처음으로 비관적인 투자자의 비율을 넘어섬

낙관적인 응답자는 설문 조사에 참여한 사람 중 37.7%로 증가했는데, 이는 지난주 35.9%에서 증가한 수치이며, 1월 말 이후 처음으로 장기 역사적 평균인 37.5%를 넘어섬

4월 초까지만 해도 전체 설문 조사의 61.9%를 차지했던 비관적 투자자들의 비중은 이번 주 36.7%로 지난주 44.4%에서 하락

비관적 전망은 27주 만에 25번째로 장기 역사적 평균인 31.0%를 여전히 웃돌고 있음

시장에 대해 중립적이라고 답한 투자자의 비율은 지난주 19.7%에서 이번주 25.6%로 증가했으며, 46주 중 44번째로 역사적 평균인 31.5%보다 낮았음


트럼프 취임 100일, 9개 챠트로 보는 미국 주식 시장 분석과 향후 전망


CME FedWatch Tool에 따르면 6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은 약 94.6%이며 25bp인하할 확률은 5.4%로 반영 중



오늘의 특징주


자동차 부품 소매업체인 어드밴스 오토 파츠(AAP)는 3분기 조정 주당순손실이 시장 예상치 $0.82보다 양호한 $0.22를 기록하고 매출이 시장 예상치 $2.50B를 상회한 $2.58B를 달성하면서 장중 약 +55% 급등


헬스케어 보험 기업들은 메디케어 앤 메디케이드 서비스센터가 메디케어 어드밴티지 감사를 적극적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하면서 일제히 하락 - 휴마나(HUM) -4.9%, 씨브이에스 헬스(CVS) -1%, 유나이티드헬스(UNH) -0.2%


의류 소매업체인 어반 아웃피터스(URBN)는 1분기 주당순이익이 시장 예상치 $0.84를 상회한 $1.16을 기록하고 매출이 시장 예상치 $1.29B를 상회한 $1.33B를 달성하면서 장중 약 +22% 급등


데이터 스토리지 기업인 스노플레이크(SNOW)는 1분기 조정 주당순이익이 시장 예상치 $0.21을 상회한 $0.24를 기록하고 매출이 시장 예상치 $1.01B를 상회한 $1.04B를 달성하면서 장중 약 +11.4% 상승


태양광 기업인 선런(RUN)은 하원 공화당 세법안이 그린에너지 부문에 예상보다 불리할 것으로 나타나면서 장중 약 -40% 급락. 동 업계 솔라엣지(SEDG) -21%, 엔페이즈(ENPH) -18%, 어레이 테크놀로지스(ARRY) -8%, 넥스트래커(NXT) -4%, 퍼스트 솔라(FSLR) -4% 동반 하락


반도체 제조업체인 아날로그 디바이시스(ADI)는 2분기 조정 주당순이익이 시장 예상치 $1.70을 상회한 $1.85를 기록하고 매출이 시장 예상치 $2.51B를 상회한 $2.64B를 달성했으나 장중 약 -3.4% 하락


배송 기업인 피트니 보우즈(PBI)는 현 이사 Kurt Wolf를 CEO로 임명한다고 발표하면서 장중 약 +10.2% 상승


데이터 스토리지 기업인 시게이트 테크놀로지(STX)는 투자자의 날에서 2028 회계연도까지 $5B 규모의 자사주 매입 계획을 발표하면서 장중 약 +3.8% 상승


고급 가구 소매업체인 윌리엄스 소노마(WSM)는 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상회했으나 기업 가이던스가 실망스러웠다는 평가로 장중 약 -5.1% 하락


차량 부품 공급업체인 다나(DAN)는 알비씨캐피털마켓츠가 투자의견을 섹터퍼폼에서 아웃퍼폼(비중확대)으로 상향하며 동사의 펀더멘털이 "오해받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장중 약 +3.9% 상승

재시도


사우스웨스트 50K+20K=70,000P 크레딧 카드 리퍼럴 코드(미국 거주자만 해당)

반드시 아래 리퍼럴 코드로 가입해야 20,000P 추가 수령가능


디스커버 크레딧 카드 가입 후 3개월내 1회 사용시 $100 지급 (미국 거주자만 해당)

반드시 아래 리퍼럴 코드로 가입해야 $100수령가능


베미투 멤버십 상시 가입이 가능하며 아래 링크를 통해 가입 가능


베미투 멤버십 가입 후기들


미국주식 멘토, 베가스 풍류객님 멤버십 추천


소소테크맘의 베미투 멤버십 후기


베미투 멤버십 2025년 회원 모집



"위의 링크를 통해 아마존에서 물품 구매시 필자는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음."


오늘의 경제지표


오늘(22일) 미 동부 시간 오전 8시 30분 노동부에서 발표한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Jobless Claims)는 시장 예상치인 230,000건 보다 줄어든 227,000건으로 집계되었다. 지난 주 수정 발표치인 229,000건 대비 -2,000건이 감소했으며, 4주 평균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31,500건으로 조정되었다.

미국 50개 주는 실직자가 직장을 구하기 전까지 생계유지를 위해 실업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실업수당은 최대 26주까지 주 정부에서 지급하며, 매주 일요일에서 토요일까지 일주일간 신청된 실업수당 신규 청구 건수를 집계해 노동부로 보내면 이것을 취합해서 매주 목요일 오전에 발표한다.


오늘(22일) 미 동부 시간 오전 8시 30분 시카고 연준이 발표한 4월 전미 국가 활동 지수(Chicago Fed National Activity Index)는 전월치인 0.03을 하회한 -0.25으로 발표되었다. 현재 3개월 이동 평균지수는 0.05이다.


해당 지수는 0을 기준으로 (+)는 경제활동의 확장을, (-)는 경제활동의 수축을 나타낸다.


해당지수는 1999년 부터 시카고 연준이 미국의 전반적인 경제활동과 인플레이션 예측을 위한 개발한 85개의 지표를 매달 말에 전월의 수치를 발표하고 있다. 


오늘(22일) 미 동부시간 오전 9시 45분 리서치업체 IHS 마킷(IHS Markit)이 발표하는 5월 구매관리자지수 합산 예비치(PMI Composite Flash)는 시장예상치인 50.6를 상회하는 52.1을 기록했다.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Manufacturing Index)는 시장예상치인 49.8를 상회하는 52.3을 기록했다. 서비스 PMI 예비치(Services Index)는 시장예상치인 50.6를 상회하는 52.3을 기록했다.


해당지수는 50을 기준으로 50이상은 경기 확장세, 50이하는 경기 위축세를 나타낸다. 


IHS 마킷에서 발표하는 구매관리자 지수(이하, PMI) 예비치는 최종 PMI 보고서 보다 약 10일 정도 일찍 발표하며, 전체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의 85%를 바탕으로 발표하기 때문에 이변이 없는 한 매월 초에 발표되는 PMI와 비슷한 결과물을 내놓으며 선행성을 띄게 된다. 


매월 당월의 수치를 발표한다.


오늘(22일) 미 동부 시간 오전 10시 전미 부동산중개인협회(NAR)가 발표한 4월 기존 주택 판매 건수(Existing Home Sales)는 시장 예상치인 4,130,000건을 하회하는 4,000,000건을 기록했다. 기존 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0.5%, 전년 동월 대비 -2.0%감소했다.


미국에서 기존 주택 판매 시장은 신규 주택 판매 시장보다 상당히 큰 시장이다. 

주택 소유자는 주택 판매로 인한 시세차익이 소비로 이어지게 되고, 주택 구입자도 새집을 구입 하기 전 은행 대출을 통한 주택담보 대출, 기존 주택 리모델링, 각종 내구재(가전제품, 가구 등)의 소비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판매 건수가 많을수록 미국 경제에는 상당히 긍정적이다. 

기존 주택 판매 수가 늘면 늘수록 미국 경제가 좋다는 것이며, 판매가 줄어 들게 되면 미국 경제가 좋지 않다는 증거이다. 


해당 지표는 매월 중순 전월의 수치를 발표한다.




"위의 링크를 통해 쿠팡에서 물품 구매시 필자는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음."

출처: Finviz.com
출처: Finviz.com

베미투 멤버십 가입: https://www.vegastooza.com/plans-pricing


*해당 컨텐츠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의 목적이며 매수 매도 추천은 아님



Comments


게시물: Blog2_Post

​이메일  구독을 원한다면

제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빠른 질문이나 답변을 원하시면 오른쪽 하단의 채팅서비스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Facebook
  • Instagram
  • Twitter
  • 블로거 사회 아이콘
  • YouTube

©2019 by vegastooza.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