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모건 스탠리 주간 코멘트 11월 첫째 주

  • 어닝 시즌의 매출 서프라이즈 비율(평균의 2배 이상)과 중간값 주식의 EPS 성장률(11%, 4년 내 최고)은 긍정적임.


  • 이는 4월에 새로운 사이클과 강세장이 시작되었다는 견해를 뒷받침함.


  • 단기 위험 요인으로는 연준(Fed)의 더딘 대응 속도와 자금 시장 스트레스 증가 가능성임.


1. 어닝 시즌의 긍정적 징후


  • 현재 진행 중인 어닝 시즌에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매출 서프라이즈(revenue surprise)이며, S&P 500 기준으로 2.3%를 기록함. 이는 역사적 평균(1.1%)의 두 배가 넘는 수치임.


  • 이는 중간값 주식(median stock)의 내년도 탑라인(매출) 성장이 견고해지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음.


  • 이러한 현상은 지난 3년간 침체를 겪었던 민간 경제 부문에서 4월부터 새로운 사이클이 시작되었다는 분석과 일치함.


  • NFIB 소기업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가격 결정력(pricing power) 안정화 데이터와도 부합함.


  • 중간값 주식의 EPS(주당순이익) 성장률 재가속도 주목할 만함.

    • Russell 3000 지수 중간값 주식의 EPS 성장률은 1분기 2%, 2분기 6%에 이어 3분기 현재까지 11%를 기록함.

    • 이는 2021년 3분기 이후 가장 빠른 성장세이며, 역대 가장 길었던 '어닝 리세션(earnings recession)' 중 하나의 종료를 의미함.


  • 이러한 흐름은 시장에서 아직 충분히 인식되지 않았으며(underappreciated), 2026년까지 지속되어 주요 지수 전반에 걸쳐 이익 기여도가 넓어질 것으로 전망됨.


  • 주식 시장은 언제나처럼 컨센서스 예측가들보다 이러한 변화를 먼저 파악했음.


2. 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 비율(Earnings Revisions Breadth) 관찰


  • 현재 가장 주목하는 지표는 이익 추정치 상향 조정 비율임. 이는 가이던스를 예측하는 대리 지표이자 주식 시장 성과를 설명하는 최고의 동행 지표 중 하나임.


  • '해방의 날(Liberation Day)' 이후 역사적인 반등을 보였던 이 지표가 최근 하락세를 보였음.


  • 다만, 지금까지의 하락은 계절적 추세와 일치하는 수준임. (통상 10월에 약세를 보이다 11월에 안정화됨)


  • 더 높은 빈도(higher frequency)로 집계되는 이익 추정치 게이지는 이미 개선되고 있어 긍정적 신호로 판단됨.


  •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말에 관세(tariffs)가 특정 섹터(예: 소비재)의 매출원가(COGS)에 타격을 줄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함.


  • 이는 2026년 더 나은 성장으로 가기 위한 과도기적 현상으로 보지만, 관세에 직접 영향을 받는 개별 주식에는 단기적 부담이 될 수 있음.


3. 지난주의 3가지 주요 이벤트


  • 지난주는 (1) 트럼프-시진핑 무역 회담, (2) 10월 FOMC 회의, (3) 주요 AI 주식 실적 발표라는 세 가지 핵심 이벤트가 있었음.


  • 무역 리스크: 양국 정상 회담으로 무역 관련 이벤트 리스크는 대체로 해소(diffused)되었으며, 이는 분명한 긍정적 요인임.


  • 통화 정책 (FOMC): 여전히 불확실성이 존재함.

    • 파월 의장은 "12월 금리 인하가 기정사실이 아니다(far from it)"라고 언급함.

    • 향후 6~12개월 전망: 후행적인 노동 데이터의 완만한 약세와 현 행정부의 '경기 과열 용인(run it hot)' 기조가 결합되어, 명목 성장이 개선되는 와중에도 완화적인 통화 정책이 유지될 것으로 보임.

    • 단기 불확실성: 연준의 정책 경로 속도와 규모에 대한 불확실성은 남아있음.

    • QT(양적긴축) 종료: 12월 1일로 결정된 QT 종료 시점은 일부 투자자들의 예상보다 늦은 것임.

    • 자금 시장 리스크: 지급준비금(reserves)이 '충분한(ample)' 수준 이하로 감소함에 따라, 잠재적인 유동성 긴축 환경 속에서 특히 연말 자금 시장의 움직임을 주시할 필요가 있음.


  • AI 및 메가캡 실적:

    • 핵심 질문은 '투자자들이 이들 주도주의 악화되는 현금 흐름 지표를 용인할 것인가, 아니면 문제 삼아 매도할 것인가'임.

    • 지난주 이들 주식의 가격 움직임은 혼조세를 보였으며, 이는 S&P 500 지수의 단기 방향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하므로 주시해야 함.

댓글


게시물: Blog2_Post

​이메일  구독을 원한다면

제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빠른 질문이나 답변을 원하시면 오른쪽 하단의 채팅서비스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Facebook
  • Instagram
  • Twitter
  • 블로거 사회 아이콘
  • YouTube

©2019 by vegastooza.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