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디지털세 철회로 2분기 마지막 거래일 S&P 500&나스닥 사상최고치로 마감(06/30/25)
- 베가스풍류객
- 6월 30일
- 5분 분량
최종 수정일: 7월 1일
오늘 미국 주식 시장은 캐나다의 디지털세 철회로 인해 2분기 마지막 거래일 S&P 500과 나스닥 종합지수는 사상최고치로 상승 마감
미국 주식 시황
캐나다 총리 마크 카니는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의 무역 협상이 종료됐다고 발언한 후 미국과의 무역 협상 재개를 위해 디지털 서비스세를 시행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
이번 발표는 이달 카나나스키스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설정한 2025년 7월 21일 시한을 향한 협상 재개를 지원할 것이라고 성명에서 밝힌 상태
재무부장관 스콧 베센트는 트럼프 행정부가 무역 협상을 계속하는 가운데 일부 국가에 대해 "해방의 날"에 발표된 관세로 되돌아가는 것이 여전히 옵션이라고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언급
선의를 바탕으로 협상하는 국가들이 있지만 완강한 태도를 보여 합의점에 도달할 수 없다면 4월 2일 수준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고 강조
하지만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임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 의장 케빈 해셋은 세금 및 지출 법안이 통과되면 일부 예비 무역 협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언급
영국과 체결한 것과 같은 프레임워크가 거의 합의된 두 자릿수의 거래가 있으며, 세금 법안이 통과되는 즉시 대통령과 함께 하나씩 검토하며 최종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강조
캐나다와의 디지털 서비스세 협상이 다른 협상에서도 핵심이 될 수 있으며, 전 세계의 디지털 서비스세가 철폐되는 것이 진행 중인 무역 협상의 핵심 부분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임
애틀랜타 연준 의장 라파엘 보스틱은 연준이 7월 FOMC에서 기준 금리 인하를 정당화할 만큼 경제 궤도에 대한 충분한 명확성을 갖지 못할 것 같다고 언급
인플레이션 지표가 하나 더 나올 예정이지만 다른 정책들이 노동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여전히 불확실성이 많아 어떤 방향으로든 움직이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다고 강조
기업들이 관세와 다른 경제 요인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면밀히 모니터링할 것이며, 많은 기업들이 최종 전략이 확정되기까지 2026년까지 걸릴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어 예상보다 훨씬 더 오래 걸릴 수 있다고 덧붙임
팩트셋 선임 수익 애널리스트 존 버터스는 S&P 500 기업 중 110개 이상이 2분기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를 제시했으며, 이 중 51개 기업이 긍정적인 가이던스를 발표했다고 언급
이는 5년 평균인 42개와 10년 평균인 39개를 상회하는 수치이며, 59개 기업은 부정적인 전망치를 제시했다고 강조
2분기 S&P 500의 예상 연간 이익 성장률은 +5%로 2023년 4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익 성장률을 기록할 수 있다고 경고
제이피 모건 애널리스트 리처드 셰인은 동사 고객들의 지출 성장이 둔화되고 있다고 언급
6월 20일 기준 총 지출 성장률은 약 2.0%로 5월의 약 2.3%보다 감소했으며, 6월 월간 누적 성장률은 더 많은 데이터가 나오면서 한 달 내내 둔화됐다고 강조
낮은 유가에 힘입어 지출 성장률이 2.7%로 상승하지만 여전히 5월의 3.1% 성장률보다는 낮다고 언급하면서 X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동사 고객들 사이에서는 6월 지출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고 덧붙임
뱅크오브아메리카 애널리스트 에브라힘 푸나왈라는 골드만삭스의 연준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가 전년 대비 "상당한" 개선을 보였다고 언급
씨티그룹의 결과는 더 많은 자사주 매입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하며, 전체적으로 이번 결과가 은행 그룹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강조
글로벌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은행들(GSIBs) 중에서 씨티그룹, 골드만삭스, 웰스파고가 가장 좋은 위험 대비 수익을 제공한다고 강조
골드만삭스 미국 주식 전략 책임자 데이비드 코스틴은 2분기 실적 시즌을 앞두고 관세가 기업 마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경고 기업들이 관세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면 마진에 하방 위험이 될 것이라고 언급
골드만삭스 경제학자들은 소비자가 관세의 직접 비용 중 70%를 흡수할 것으로 가정한다고 지적하면서 발표된 정책에 기반한 미국의 실효 관세율이 약 10%포인트 상승해 13%가 됐으며, 추가로 4%포인트 인상돼 최종적으로 17%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 관세에 가장 노출된 기업들의 마진 추정치에 대한 애널리스트 수정은 일반적인 주식에 비해 더 부정적이었으며, 초기 실적 결과는 마진 전망에 대해 상충하는 메시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임
US뱅크 웰스 매니지먼트 최고 주식 전략가 테리 샌드벤은 남은 2025년 관세 시한과 세금 법안이 변동성을 야기할 수 있지만, 주식 펀더멘털과 시장 폭의 개선 등의 요인으로 최근 모멘텀이 지속될 수 있다고 언급
미국 주식이 사상 최고치에 도달하면서 우려의 벽이 무너지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은 안정적이고 금리는 일정 범위에 머물고 있으며 수익은 더 높아지는 추세라고 분석 이는 하반기를 시작하면서 미국 주식이 계속 상승할 수 있는 유리한 배경이라고 강조
트럼프 취임 100일, 9개 챠트로 보는 미국 주식 시장 분석과 향후 전망
CME FedWatch Tool에 따르면 7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은 약 78.8%이며 25bp인하할 확률은 21.2%로 반영 중
오늘의 특징주
온라인 주식거래 플랫폼 로빈후드(HOOD)는 미국에서 암호화폐 스테이킹(보유한 암호화폐로 추가 수익을 얻는 서비스)과 유럽에서 토큰화된 미국 주식 및 ETF 거래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10% 상승하며 52주 신고가 기록
대체투자 자산운용사 코헨앤스티어스(CNS)는 뱅크오브아메리카가 비중축소 등급과 주가목표 $67(현재가 대비 -14%)로 커버리지를 시작하면서 -4% 하락
패스트캐주얼 레스토랑 체인 카바(CAVA)는 특별한 이유 없이 +9% 상승했으나 연초 대비 -25%, 지난 12개월 대비 -8% 하락
산업용 기술기업 포티브(FTV)는 정밀기술 사업부를 분사해 랠리언트(RAL)로 독립시키면서 -5% 하락, 신설법인 랠리언트는 -8% 하락
데이터베이스 및 클라우드 기업 오라클(ORCL)은 2028 회계연도부터 연간 $30B 이상의 매출을 가져올 대규모 클라우드 서비스 계약들을 체결했다고 발표하고 스티펠이 매수 등급으로 상향하면서 +5% 상승
헬스케어 서비스 기업 케메드(CHE)는 플로리다의 호스피스 사업부문 메디케어 입원 실적이 예상보다 부진하고 배관수리 사업부문도 주택 수요 약세를 보이면서 -14% 하락
태양광 관련주들은 미국 지출법안에 중국산 부품 사용 프로젝트에 세금을 부과하는 내용이 포함되면서 상승 - 미국산 태양광 패널 생산업체 퍼스트솔라(FSLR) +9%, 리스 시스템이 다시 세금공제 혜택을 받게 된 선런(RUN) +15%, 솔라엣지(SEDG) +5% 상승
바이오테크 기업 모더나(MRNA)는 독감백신 임상3상에서 긍정적 결과를 보이며 단독 백신과 코로나 복합백신 출시 가능성이 열리면서 +2% 상승
서버 제조업체 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HPE)와 네트워크 장비업체 주니퍼네트웍스(JNPR)는 미국 법무부가 HPE의 $14B 주니퍼 인수 관련 소송을 해결하면서 각각 +12%, +8% 상승
소셜미디어 기업 메타플랫폼스(META)는 오픈AI에서 AI 연구원 4명(유지아후이, 비슈차오, 자오셩지아, 렌홍유)을 영입해 알렉산더 왕이 이끄는 초지능 그룹에 합류시켰다는 보도에 +1% 상승
건축자재 유통업체 GMS(GMS)는 홈디포(HD)가 $4.3B에 인수한다고 발표하면서 +11% 상승, 이는 QXO(QXO)의 비공개 인수제안보다 높은 금액
데이터 분석 기업 팔란티어(PLTR)와 IT 컨설팅 기업 액센츄어(ACN)는 액센츄어 페더럴이 팔란티어의 선순위 파트너가 되어 미 연방정부 고객들의 AI 자동화를 지원한다고 발표하면서 각각 +5%, +1% 미만 상승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TSLA)는 트럼프 대통령의 지출법안이 청정에너지 세금공제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전기차에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이면서 -1% 하락
디스커버 크레딧 카드 가입 후 3개월내 1회 사용시 $100 지급 (미국 거주자만 해당)
반드시 아래 리퍼럴 코드로 가입해야 $100수령가능
베미투 멤버십 상시 가입이 가능하며 아래 링크를 통해 가입 가능
베미투 멤버십 가입 후기들
미국주식 멘토, 베가스 풍류객님 멤버십 추천
소소테크맘의 베미투 멤버십 후기
베미투 멤버십 2025년 회원 모집
"위의 링크를 통해 아마존에서 물품 구매시 필자는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음."
오늘의 경제지표
오늘(30일) 미 동부 시간 오전 9시 45분 ISM(Institute for Supply Management) 시카고에서 발표한 6월 시카고 구매관리자 지수(Purchasing Managers' Index)는 시장예상치인 43.0을 하회하는 40.4를 기록했다.
해당지수는 50 이상은 경기 확장세, 50 이하는 경기 위축세를 나타낸다.
해당 지수는 2011년 10월부터 마켓 뉴스 인터내셔널(Market News International)에서 시카고 지역 제조업과 비제조업을 함께 조사하고 있다. 따라서 순수한 제조업 지표가 아닌 통합적인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
매월 초 발표하는 ISM PMI의 어느 정도 선행성을 가지며, 매월 말 당월의 수치를 제공한다
오늘(30일) 미 동부 시간 오전 10시 30분 6월 달라스 연은 제조업지수(Dallas Fed Manufacturing Survey)가 발표되었다.
평균 활동지수는 전월 -15.3대비 -12.7으로 발표되었다. 생산지수는 전월 0.9보다 낮은 1.3으로 발표되었다.
해당 지수는 0을 기준으로 (+)는 경제활동의 확장세, (-)는 경제활동의 위축세를 나타낸다.
해당 지표는 미국내 원유 생산량의 40%를 차지하며, 미국의 중동으로 불리는 텍사스 지역의 석유 시추업체와 정유시설 가동 현황을 통해 지역 경기 흐름을 알 수 있으며, 매월 초 발표하는 공급관리자협회(ISM)의 구매관리자 지수(PMI)의 어느 정도 선행성을 가진다.
해당 지표는 해당 월 수치를 매달 마지막 월요일 발표한다.
"위의 링크를 통해 쿠팡에서 물품 구매시 필자는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음."

베미투 멤버십 가입: https://www.vegastooza.com/plans-pricing
*해당 컨텐츠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의 목적이며 매수 매도 추천은 아님

Komment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