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트럼프, 높은 관세 부과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3대 지수 급락마감(04/03/25)

최종 수정일: 4월 4일

오늘 미국 주식 시장은 전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가 시장예상보다 광범위하고 높게 부과되면서 3대 지수 모두 하락 마감

출처: cnbc.com
출처: cnbc.com

마진 부채로 살펴보는 미국 주식 시장 상황과 향후 전망



미국 주식 시황


전일 장마감 후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국가에 대한 10%의 기본 관세율이 4월 5일부터 발효된다고 발표

트럼프 행정부에 따르면 미국에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큰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라는 강조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그들이 우리에게 부과하고 있는 관세의 약 절반을 그들에게 부과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관세 부과는 완전한 상호주의가 아닐 것"이라는 입장 표명

절반으로 줄어든 관세 부과에는 "모든 관세, 비화폐적 장벽 및 기타 형태의 속임수를 합친 비율"이 포함된다고 덧붙임


전일 트럼프 대통령전일 부과된 관세율은 많은 국가에서 투자자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높을 것이며 예를 들어, 새로운 상호 관세율과 이미 중국에 부과된 관세를 고려하면 중국의 실효 관세율은 이제 54%가 될 것이라고 전망

많은 투자자들은 10%에서 20%의 관세율이 최소 시작점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상한선이 되기를 희망했지만 결과는 다르게 표출


생추어리 웰스 수석 투자 전략가 메리 앤 바텔스는 전일 부과된 관세는 시장이 예상한 최악의 시나리오였으며 시장에 가격이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러한 리스크에 투매가 나타나고 있다고 언급

가장 큰 문제는 S&P 500지수가 5,500을 지지할 수 있느냐는 것이며, 5,500이 유지되지 못한다면 앞으로 -5~-10% 추가 하락이 예상되며, 5,200~5,400이 저점이 될 수 있다고 강조


블루칩 트렌드 리포트 수석 기술 전략가 래리 텐타렐리는 2월 말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지속적인 관세 발표로 인한 불확실성 고조로 인해 미국 주식시장이 큰 타격을 입었으며 최고치에서 10% 하락한 조정 구간에 진입했다고 언급

이러한 불확실성은 일부 부진한 경제 데이터에서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이는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를 고조시켜 주가를 더욱 압박하는 상황이라고 강조

"만약 트럼프 대통령이 10%의 관세만 부과했다면, 지금쯤 미국 주식 시장은 상당히 상승했을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많은 이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 큰 규모의 관세가 부과되었기 때문에, 이것이 현재 더 큰 하방 변동성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덧붙임


중국 AI 다크호스 DeepSeek, 실리콘밸리 빅테크 공룡들의 주가를 흔들수 있을까? (DeepSeek)


S&P 다우존스 지수 수석 지수 애널리스트 하워드 실버블랫에 따르면 오늘 트럼프 대통령의 전일 관세 발표 이후 미국 주식시장 폭락 속에서 미국 벤치마크 S&P 500 지수가 오늘 거래에서 거의 $2T의 시가총액이 증발했다고 언급

오늘 급락으로 약 $1.92T달러의 가치가 손실되었으며 이는 전일 종가 기준 2025년 전체 손실액인 $1.75T보다 더 큰 규모라고 강조

오늘 매도세는 매우 광범위하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S&P 500에서 약 4개 주식 중 3개가 하락) 시가총액 손실의 약 절반은 빅테크 7들에 의해 발생

약 $950B의 손실이 엔비디아, 애플,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아마존, 테슬라로 구성된 그룹에서 발생했다고 덧붙임


오늘 필립 제퍼슨 연준 부의장은 관세가 물가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는 여전히 인플레이션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우려로 인해 "소비자와 기업들이 단기적으로 더 높은 인플레이션을 예상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장기 인플레이션 기대치에 대한 다른 지표들은 결국 연준의 2% 목표로 돌아갈 것이라고 강조

이러한 환경에서 연준이 금리에 대해 계속 인내심을 가질 수 있으며 "자신의 견해로는 추가적인 정책금리 조정을 서두를 필요가 없으며 현재의 정책 기조는 우리의 이중 책무 양쪽을 추구하는 데 직면한 위험과 불확실성에 대처하기에 잘 갖추어져 있다"고 덧붙임


레이먼드 제임스 매니징 디렉터 겸 백악관 정책 애널리스트 에드 밀스는 전일 트럼프 대통령의 집중적인 관세 발표가 이미 주저하고 있던 미국 주식 시장에 더 많은 의문을 추가했다고 언급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발표는 시장 예상보다 훨씬 대담하여 새로운 불확실성을 초래했다"고 강조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국가들이 관세와 비관세 장벽을 철폐한다면 상호 관세를 피할 수 있다고 언급했지만, 그렇게 단순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히면서 "다양한 국가들이 무역 장벽을 낮추고, 관세를 줄이고, 트럼프 행정부와 직접 협상하려는 모습을 목격했다"고 덧붙임


2025년 골드만 삭스의 미국 주식 시장 전망과 개인적인 생각(Feat.GS 2025)


CME FedWatch Tool에 따르면 5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은 약 84.2%이며 25bp인하할 확률은 15.8%로 반영 중


오늘의 특징주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애플(AAPL)은 트럼프의 관세 발표 이후 아이폰 대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어 장중 약 -8.3% 하락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영향으로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닷컴(AMZN)은 트럼프의 관세 발표 영향으로 장중 약 -7.1% 하락, 소셜미디어 기업인 메타 플랫폼스(META)는 장중 약 -6% 하락, PC 제조업체인 델 테크놀로지스(DELL)는 장중 약 -16% 하락, PC 제조업체인 HP(HPQ)는 장중 약 -13% 하락


스포츠 의류 제조업체인 나이키(NKE)는 2024 회계연도 기준 신발의 약 50%, 의류 제품의 28%를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어 장중 약 -11% 하락


신발 제조업체인 데커스 아웃도어(DECK)는 호카 운동화와 어그 부츠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장중 약 -15% 하락


스포츠 의류 제조업체인 룰루레몬 애슬레티카(LULU)는 트럼프의 관세 발표 영향으로 장중 약 -11% 하락


은행주들은 트럼프의 광범위한 관세의 경제적 영향을 우려하며 하락 - 뱅크 오브 아메리카(BAC) -8.6%, JP모건 체이스(JPM) -5.5%, 웰스파고(WFC) -7.2%이상 하락


반도체 주식들은 백악관이 대만에 대한 관세가 칩에는 적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음에도 하락 - 엔비디아(NVDA) -6.4%, AMD(AMD) -5.8%, 퀄컴(QCOM) -8.5%이상 하락


전기차 제조업체인 테슬라(TSLA)는 관세 발표 이후 장중 약 -4.3% 하락. 전일 거래에서 폴리티코 보도에서 일론 머스크 CEO가 향후 몇 주 내에 정부 역할에서 물러날 계획이라고 전해지면서 +5.3% 상승, 1분기 차량 인도량이 전년 대비 13% 감소하며 시장 예상을 크게 하회


전기차 제조업체인 루시드 그룹(LCID)은 1분기에 3,109대를 인도하고 2,212대를 생산했으며, 600대 이상이 최종 조립을 위해 사우디아라비아로 운송 중이라고 밝히면서 장중 약 -1% 하락했으며 $1.0B 규모의 전환사채 발행 계획도 발표


할인 소매업체인 달러트리(DLTR)는 직접 수입의 대부분을 중국에서 받고 있어 장중 약 -7.9% 하락. 지난달 관세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을 시행 중이라고 밝힘


할인 소매업체인 파이브 빌로우(FIVE)는 트럼프의 관세 발표 영향으로 장중 약 -26% 하락


대형 소매업체들은 관세 소식에 혼조세 - 월마트(WMT) -0.7%, 코스트코 홀세일(COST) +1.5%, 타겟(TGT) -9.4%. 이들 기업은 관세가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


가구 소매업체인 RH(RH)는 4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하회하고 1분기 및 회계연도 매출 전망도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면서 장중 약 -40% 하락. 게리 프리드만 CEO는 "관세, 시장 변동성, 인플레이션 위험으로 인한 불확실성으로 올해 고위험 비즈니스 환경이 예상된다"며 "거의 50년 만에 최악의 주택 시장에서 운영 중"이라고 언급


차량 공유 서비스 기업인 리프트(LYFT)는 뱅크 오브 아메리카증권이 자율주행차 시장의 경쟁 심화 관련 단기 압박을 이유로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비중축소로 하향 조정하고 목표가를 $17.50에서 $10.50으로 낮추면서 장중 약 -9.8% 하락


식품 제조업체인 코나그라 브랜즈(CAG)는 3분기 조정 주당순이익이 시장 예상치 $0.52를 하회한 $0.51을 기록했지만, 장중 약 +1.8% 상승. 회계연도 가이던스는 변동 없이 유지, 이전 발표된 미국의 철강 및 알루미늄,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가 2025 회계연도에 "제한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언급


냉동 감자튀김 제조업체인 램 웨스턴(LW)은 3분기 조정 실적이 시장 예상을 상회하고 회계연도 주당 순이익 $3.05~$3.20, 매출 $6.35B~$6.45B 전망을 유지하면서 장중 약 +9% 상승. S&P 500 지수에서 속한 종목 중 가장 큰 상승세를 보임


BofA 2월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조사, 투자심리 최고조, 경계심 필요


사우스웨스트 50K+20K=70,000P 크레딧 카드 리퍼럴 코드(미국 거주자만 해당)

반드시 아래 리퍼럴 코드로 가입해야 20,000P 추가 수령가능


디스커버 크레딧 카드 가입 후 3개월내 1회 사용시 $100 지급 (미국 거주자만 해당)

반드시 아래 리퍼럴 코드로 가입해야 $100수령가능


베미투 멤버십 상시 가입이 가능하며 아래 링크를 통해 가입 가능


베미투 멤버십 가입 후기들


미국주식 멘토, 베가스 풍류객님 멤버십 추천


소소테크맘의 베미투 멤버십 후기


베미투 멤버십 2025년 회원 모집



"위의 링크를 통해 아마존에서 물품 구매시 필자는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음."


오늘의 경제지표


오늘(3일) 미 동부 시간 7시 30분에 발표된 3월 챌린져 잡-컷 리포트(Challenger Job-Cut Report)의 임시해고자(Lay-off)수는 275,240명을 기록했으며, 전월 172,017명 대비 큰 폭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해당지표는 각 주 노동부가 보유한 개별 기업들이 진행한 대규모 임시해고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해서 매달 첫번째 주에 전월의 수치를 제공한다.


오늘(3일) 미 동부 시간 오전 8시 30분 노동부에서 발표한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Jobless Claims)는 시장 예상치인 226,000건 보다 줄어든 219,000건으로 집계되었다. 지난 주 수정 발표치인 225,000건 대비 6,000건이 감소했으며, 4주 평균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23,000건으로 조정되었다.

미국 50개 주는 실직자가 직장을 구하기 전까지 생계유지를 위해 실업수당을 지급하고 있다. 실업수당은 최대 26주까지 주 정부에서 지급하며, 매주 일요일에서 토요일까지 일주일간 신청된 실업수당 신규 청구 건수를 집계해 노동부로 보내면 이것을 취합해서 매주 목요일 오전에 발표한다.


오늘(3일) 오전 8시 30분 상무부 인구조사국에서 발표한 2월 무역수지(International Trade in Goods and Services)확정치는 시장예상치인 $-122.7B를 부합하는 $-122.7B으로 전월 대비 -6.1% 감소했다.


수출은 $278.5B으로 전월 대비 +2.9% 증가했으며, 수입은 $401.1B으로 전월 대비 +0.0%였다.


해당지표는 미국의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출입을 파악하는 보고서이다. 여기에는 미국과 교역을 하는 48개 국가와 7개 지역에 대한 자료도 함께 제공된다.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경제 동향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이며, 수입과 수출을 통해 미국 경제성장과 미국 기업들의 실적을 전망할 수 있다. 


해당지표는 매월 첫째 주 2개월 전 확정치를 제공하며 말일에는 예비치를 제공한다.



"위의 링크를 통해 쿠팡에서 물품 구매시 필자는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음."

출처: Finviz.com
출처: Finviz.com

베미투 멤버십 가입: https://www.vegastooza.com/plans-pricing


*해당 컨텐츠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의 목적이며 매수 매도 추천은 아님



 
 
 

Comments


게시물: Blog2_Post

​이메일  구독을 원한다면

제출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빠른 질문이나 답변을 원하시면 오른쪽 하단의 채팅서비스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Facebook
  • Instagram
  • Twitter
  • 블로거 사회 아이콘
  • YouTube

©2019 by vegastooza.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