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역 연준 경기활동 지표가 중요한 이유와 투자아이디어 아래 그림은 각 지역별 연준의 관할지역을 나타내는것 각 지역연준은 고유번호를 가지고 있음 보스턴은 1번, 샌프란시스코는 12번, 12개를 다 모아서 회의를 하면 13번... 그래서 제목의 Feat를 13번으로 한것이다. 13번은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라고 보면 된다. 연준은 미국내 각 지역연준의 경기동향을 바탕으로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통해 미국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것
그래서 지역연준의 경기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미국주식 투자자로서 중요

출처:FRB
지역 연준에서 발표하는 경제지표들
미국의 각 지역연준에서는 ISM PMI와 비슷한 지표들이 있으며 매달 정기적으로 발표
각 지역연준에서 발표하는 경제지표들은 아래와 같다.
1. 뉴욕 엠파이어 스테이트 제조업 지수(Empire State Manufacturing Survey)
당월 데이터 매달 15일, 뉴욕 연방준비은행
매월 1일 뉴욕주 내의 약 200개 제조업 경영자
(대개 CEO 또는 사장)에게 설문지를 보내 조사한 설문보고서
향후 6개월 이후의 경기전망에 대한 질문
해당 지표는 0을 기준으로 (+)는 경제활동의 확장을, (-)는 경제활동의 수축을 나타낸다.
2. 시카고 ISM 구매관리자 지수 (U.S. Chicago Purchasing Managers Index)
당월 데이터 매달 말일
시카코 ISM 지수는 아래 링크에서
ISM가 발표하는 월별 PMI의 선행성을 보인다...
3. 시카고 연준 국가활동지수
관할지역인 인디아나, 아이오와, 일리노이, 미시간, 위스콘신의 제 7지역(the 7th district)의 경제활동을 추적하는 월간 보고서 위의 그림을 보면 7번 주황색...
4. 캔자스시티 연은 제조업 지수 (Kansas City Fed Manufacturing Survey)
당월 데이터 매달 마지막 목요일,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의 제 10지역 (Tenth District)의 현재 제조업 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
0을 기준으로 양(+)의 수치는 경기 확장을 나타내고, 음(-)의 수치는 경기 수축을 나타낸다. 해당지수에는 복합지수, 평균생산, 신규주문, 고용, 배송시간, 원자재 재고지수가 포함되어 있다. 매월 초 발표하는 ISM PMI는 어느 정도 선행성을 가진다.
5. 리치몬드 연준 제조업 지수 (U.S. Richmond Fed Manufacturing Index)
당월 매월 넷째주 화요일, 리치몬드 연방준비은행
해당 지수는 0을 기준으로 0이상이면 경기의 확장을, 0 이하이면 경기의 수축이라고 판단
아래 링크를 통해서 확인가능
리치몬드 연방준비은행이 워싱턴 D.C., 버지니아, 웨스트 버지니아, 메릴랜드, 사우스 캐롤라이나, 노스 캐롤라이나 등 1개 자치구와 5개 지역의 기업 활동 상황을 조사해 만든 인덱스(index)
6. 댈러스 연은 제조업지수 (Dallas Fed Manufacturing Survey)
당월 데이터 매달 마지막 월요일, 댈러스 연방준비은행 석유 시추업체와 정유 시설이 많은 텍사스 지역의 경기 흐름을 알 수 있음. 해당 지표는 0을 기준으로 (+)는 경제활동의 확장을, (-)는 경제활동의 수축을 나타낸다. 매월 초 발표하는 ISM PMI의 어느 정도 선행성을 가짐. 아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
7. 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 (Manufacturing Business Outlook Survey)
당월 데이터 3번째 목요일,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아래 링크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된 지역의 모든 경제지표를 바탕으로 연방제도 이사회는 금리를 결정하고 통화정책을 시행하기 때문에 지역의 디테일이 중요하다...
지역연준의 경제활동을 근거로 연준은 미국경제를 가늠하고 미국경제활동에 맞는 금리정책을
연준에서 결정하는 것
그래서 기초가 되는 지역연준의 경기활동이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
연방공개시장위원회란?
미국 연방기금금리를 결정하는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살펴보자.
아래 그림은 FOMC에서 금리를 결정하는 투표권자와 비투표권자를 알 수 있는 그림.
7명의 연준이사가 대통령이 지명하며 상원에서 임명절차를 거친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이사의 임기는 14년이며, 재임은 불가능하고 2년 마다 1인씩 교체한다.
2020년 2월 현재 7명의 이사 중 2명은 공석인 상태이다.
뉴욕 연준의장은 당연직 이사로 연준이사들과 마찬가지로 매번 금리결정 투표권을 갖는다.
총 4개의 그룹에서 한명의 지역연준의장이 금리결정 투표권을 가진다.
첫번째 그룹은
시카고와 클리블랜드 지역연준으로 2년 마다 한번씩 돌아가면서 금리 결정 투표권을 행사한다.
두번째 그룹은
보스턴, 필라델피아, 리치몬드 지역 연준의장은 3년 마다 한번씩이다.
세번째 그룹은
캔자스시티와 미네소타, 샌프란시코 연준의장이 3년에 한번씩 투표권을 행사한다.
네번째 그룹은
세인트루이스, 댈러스, 애틀란타 연준의장도 3년에 한번씩 투표권을 행사한다.
이렇게 총 12명이 연방기금금리를 결정하는 것이다.

출처: FRB
연준의 법적의무와 투자아이디어
연준은 1년에 법적으로 정해진 8차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자본시장의 투자자들과 항상 소통하고 있다.
연준은 법에 명시된 2가지 의무가 있는데
바로 고용안정과 물가안정
그렇기 때문에 지역연준의 경기활동을 통해서 고용안정과 물가안정을 위해
금리와 통화를 조절하는것
매번 회의에서 금리인상과 인하의 힌트를 주기 때문에 금리결정 이후 금리로 인한 수혜주와 피해주의 매수와 매도로 대응을 하면 충분하다고 판단
연준의 연방기금 금리인상과 인하는 매번 추세를 가지기 때문에
연방기금금리의 최고 정점에서 금리 인하기에는 20년 이상의 장기 미국채 ETF를 매수하는 것과 30년 이상 실물 국채를 매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으로 수익을 내는 투자방법
TLT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이번 Covid-19로 인해 장기국채의 금리가 하락하면서 상당한 수익을 거둘 수 있었다...
만약 연방기금금리의 저점에서 금리 인상기에는 TLT의 역방향을 추종하는 ETF를 매수하면
효과적인 수익을 올릴 수 있다.
하지만 모든 투자자산에서 성공률은 100%라는 것은 없음.
금리인상기에서도 일시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수 있으며 (지난해 금리인상기 도중에 보험성 금리인하 3차례)
금리인하기에서도 일시적으로 금리를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지역연준의 보고서와 연준의 FOMC를 통해 금리인상과 인하의 힌트를 얻어서 투자에 활용해야 할 것
미국채와 채권투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필자가 공저자로 참여한 아래 책에 자세히 나와있으며 상당히 쉽고 자세하게 서술해 둠

출처: 잠든사이 월급버는 미국주식 투자에서 발췌

Comments